• 최종편집 2024-04-26(금)
 

[단독] 2025년도부터 버튼만 루르면  자동차가  자동으로 발레파킹 가능

work-0014.jpg

 

 

 

 

 

집근처 나 사무실 근처 앞에 차를 대놓고 버튼만 누르면 자동차가  알아서 스스로 지하주차장내  빈 공간을 찾아 ‘발레파킹’이 가능할것으로 보인다. 이는  AI(인공지능)를 결합한 차세대 반도체가 개발되는 5년쯤 뒤 (2025년) 엔 실제 벌어질 일이다.


김경수 넥스트칩 대표는 “2016년 기준 가장 높은 등급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 탑재차량에는 센싱 카메라 11개가 들어갔다”며 “향후 완전자율주행차에는 25개 이상 카메라가 설치될 것으로 보이는데 AI를 통해 인식률을 높이는 게 최대 과제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율주행차 센서는 차량 뒷 범퍼에 설치되는 울트라소닉(초음파)부터 라이다(레이저활용 레이다), RF(무선주파수) 레이다, 카메라 등 다양하다. 이중 센싱 카메라는 2026년까지 시장규모가 130억 달러로 커지고 2030년대에는 전체 차량용 센서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커질 전망이다. 


자율주행차는 최근 전세계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치열한 기술경쟁을 벌이는 분야다. 넥스트칩은 독자 ISP(영상신호처리 프로세서)에 AI 기술을 더한 자율주행용 카메라 센서 칩셋을 개발해 세계시장을 두드릴 계획이다. 정부의 AI 반도체 연구개발 프로젝트가 제품개발 로드맵에 힘을 보탠다. 


자동차 업계와 IT 업계간 자율주행 차량용 AI반도체 기술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이견이 있다. 엔비디아, 인텔 등 IT 기업들은 중앙집중형 AI칩셋에 주력한다. 이들은 다양한 차량 센서들이 취득한 데이터를 중앙의 프로세서에서 처리하는 방식을 택한다. 한마디로 차량 서버를 올리는 개념이다. 반면 자동차 업계는 엣지 컴퓨팅 즉 데이터 처리를 중앙 서버가 아닌 주변(edge)의 칩셋에서 분산 처리하는 방식을 선호한다. 넥스트칩은 후자를 지향한다. 


김 대표는 “중앙집중형 모델은 가격과 전력소모 효율성 면에서 상품성이 떨어진다는 게 대부분 자동차 메이커들의 입장”이라면서 “엣지의 경우 ISP칩에서 바로 영상데이터를 처리해 중앙으로 보내는 형태인데 전력소모가 적고 데이터 처리가 빠른 게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중앙집중형은 고장시 차량 수리비가 많이 나오는 등 유지보수와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넥스트칩이 주관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엣지용 반도체 개발사업도 엣지 데이터 처리를 위한 범용 고성능 NPU(신경망처리장치)를 개발하는 게 목표다. 김 대표는 “정부과제 참여로 연구개발(R&D)에 그나마 숨통이 트이게 됐다”며 “정부가 꾸준히 관심을 갖고 AI반도체 개발을 지원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중관춘온라인에 따르면 중국 바이두의 리옌훙 최고경영자(CEO)는 'AI 개발자대회 2019'에서 '발렛파킹(ValetParking) 셀프 주차 솔루션'을 적용한 차량이 연내 양산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발렛파킹 셀프 주차 솔루션을 적용하면 운전자가 차에서 내린 이후 차량이 스스로 차도를 따라 주차장에 진입, 주차를 완료할 수 있다. 운전자는 스마트폰 앱(APP)을 이용해 원격으로 차량의 시동을 걸고, 주차된 차량을 주차장 밖 차주가 소재한 위치로 불러낼 수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한 차량은 스스로 주행 중 장애물을 발견하거나 앞 차량이 있으면 기다리거나 멈출 수 있다. 돌발상황에도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안전하다고 바이두는 설명했다. 인도를 걷는 행인은 장애물이 아닌 것으로 식별할 수 있는 기능도 보유했다.


주차 공간을 찾기 힘든 운전자와 달리 손쉽게 주차 공간을 찾아낸다. 바이두는 이를 두고 '마지막 1km의 자유'라고 일컫었다. 

리 CEO는 "발렛파킹 셀프 주차 솔루션은 이미 여러 자동차 기업의 주문을 받았다"며 "올해 양산돼 서비스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

전체댓글 0

  • 19917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단독] 2025년도부터 버튼만 루르면 자동차가 자동으로 발레파킹 가능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