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7-12(토)

NEWS & ISSUE
Home >  NEWS & ISSUE  >  Social

실시간뉴스
  • 고용노동부, 2026년 적용 최저임금안 시간급 10,320원
    고용노동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최저임금위원회는 7.10.(목) 15:00, 정부세종청사에서 제12차 전원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위원장은 제10차 전원회의에서 제시된 공익위원 심의촉진구간 내에서 노·사의 수정안 제출을 요청했다. 수정안 제출 요구에 동의하지 못한 민주노총 추천 근로자위원(4명)이 퇴장한 가운데 진행된 회의에서 노·사는 제9차, 제10차 수정안을 제출하고 합의 도출을 위한 노력을 이어갔다. 2026년도 적용 최저임금은 공익위원의 중재와 노사의 협의 결과 17년만에 합의로 결정됐다. 합의된 최저임금안은 시간급 10,320원(월 환산액 2,156,880원, 월 209시간 기준)으로 전년대비 2.9% 인상된 수준이다. 2026년 적용 최저임금안의 영향을 받는 근로자는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기준 782천 명(영향률 4.5%),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기준 2,904천 명(영향률 13.1%)으로 추정된다.
    • NEWS & ISSUE
    • Social
    2025-07-11
  • '반얀트리 현직자가 알려준 '찐' 취업 노하우' 서울 중구 장충동 '청년 취업 멘토링' 성료
    멘토링 사진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지난 4일, 서울 중구 장충동에서 청년 취업 멘토링이 열렸다. 이번 멘토링은 20여 명의 주민이 참여한 가운데, 장충동에 위치한 ‘반얀트리 클럽 앤 스파 서울’ 현직자가 취업 실전 노하우를 전수해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 멘토링은 1부와 2부로 나눠 진행됐다. 1부에서는 호텔 직무 소개부터 채용 동향, 기업 문화, 직원 복지까지 청년들의 눈높이에 꼭 맞춘 알찬 내용으로 채워졌다. 2부에서는 현직자의 면접 경험담과 취업 스토리를 진솔하게 풀어내며, 참여 청년들의 질문에 현실적이고 밀착된 조언을 더했다. 이날 취업 멘토링은 기존의 일방적인 취업 설명회와 달리, 간식을 즐기며 자유로운 분위기 속에서 대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현직자가 면접 실수담을 털어놓자 참석자들 사이에서는 웃음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멘토링에 참여한 한 청년은 “평소 반얀트리 호텔 앞을 지날 때마다 여기서 일하고 싶다고 막연하게 생각해 왔는데, 오늘 멘토링을 통해 구체적인 길을 찾은 것 같다”라고 소감을 밝혔다. 참여자 중에서는 고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도 눈에 띄었다. 해당 학부모는 “호텔경영학 쪽으로 진로를 준비하는 딸아이 대신 참여했다”라며, “가까운 주민센터에서, 그것도 우리 동네에 있는 호텔의 현직자에게 직접 멘토링을 받을 수 있어서 정말 뜻깊었다”라고 말했다. 이번 멘토링은 중구의 동별 주민자치 특화사업 일환으로 마련됐다. 장충동은 동국대 학생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으로, 청년 인구 비율이 전체 주민 약 44%에 달하며, 중구 15개 동 중 가장 높다. 특히 이번 프로그램은 장충동 관내에 위치한 기업을 활용해, 주민들의 수요를 정확히 반영함과 동시에 지역 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계한 ‘맞춤형 취업 지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구 관계자는“앞으로도 동별 특성을 반영해, 주민들이 가까운 곳에서 필요한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맞춤형 사업을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5-07-09
  • 국토교통부, 부산 노후계획도시 정비 선도지구 5,700호 공모
    화명·금곡지구 기본계획(안)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국토교통부와 부산광역시는 7월 9일 부산 화명·금곡지구와 해운대지구의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선도지구 공모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1기 신도시 선도지구 3.6만호를 선정한 이후 추진하는 첫 선도지구 공모로, 본격적인 노후계획도시 정비 전국 확산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공모 접수는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5일간 진행된다. 화명·금곡지구 2,500호, 해운대지구 3,200호, 총 5,700호 규모의 선도지구를 12월 선정할 계획이다. 선정 규모는 해당 구역 인근의 이주수요와 주택공급량 등을 고려하여 결정했으며, 국토부와 부산시는 향후 정비 추진 과정에서 전세시장 불안이 없는 안정적인 이주를 지원하기 위해 면밀한 주택수급관리를 공동으로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같은 날 부산시는 화명·금곡지구와 해운대지구의 기본계획(안)을 부산시 누리집 등을 통해 공개하고, 주민공람을 시작한다. 화명·금곡지구는 “숲과 강을 품은 Humane도시, 화명·금곡”이라는 비전을 기반으로, 350%의 기준용적률(現 평균용적률 234%)을 제시하고, ‘지역특화거점 육성’, ‘15분 도시 실현’ 등의 공간구조 개선계획을 포함했다. 또, 해운대지구는 “해운대 그린시티, 주민과 함께 새로운 미래도시를 열다”라는 비전을 기반으로, 360%의 기준용적률(現 평균용적률 250%)과 함께 ‘지속가능한 융·복합 도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등의 공간구조 개선계획을 제시했다. 국토교통부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1기 신도시 외 수도권·지방 등 전국 10여개 지자체가 노후계획도시 정비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한 상황에서, 이번 부산시 기본계획(안) 주민공람과 선도지구 공모는 첫 사례로서 큰 의미가 있다”라면서, “또한, 앞으로 인천, 대전, 수원, 용인, 안산 등도 미래도시지원센터 등을 통해 질서있고, 체계적인 노후계획도시 정비가 가능하도록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5-07-08
  • 경기침체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중소기업 공유재산 임대료 부담 대폭 완화한다
    행정안전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행정안전부는 경기침체 등 비상경제 상황에 대응하고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의 경영 부담을 덜기 위한'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시행령' 개정안을 7월 7일 입법예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 시행령 개정안은 경기침체 등 경제위기 상황에서도 자치단체장이 공유재산 임대료를 한시적으로 감면할 수 있도록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주요 개정 내용은 기존에는 재난으로 인한 피해 시에만 임대료 인하가 가능했으나, 개정안은 경기침체 등 경제위기 상황도 포함했다. 경제위기 시 지원 대상은 개별법에 따른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업종으로 한정했다. 행정안전부 장관이 경기침체 시 경제위기 극복 필요성을 판단해 고시로 임대료 부담 완화 적용기간을 정하면, 자치단체장은 공유재산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요율·대상·감면폭을 결정하게 된다. 입법예고를 거쳐 이번 시행령 개정안이 반영되면 공유재산을 임차해 카페, 식당, 편의점 등을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임대료 부담이 실질적으로 경감되어 지역경제 회복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정안은 관보와 ‘국민참여입법센터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입법예고 기간 개정안에 대한 의견을 우편, 팩스, 국민참여입법센터 등을 통해 제출할 수 있다. 김민재 차관은 “공유재산 임대료 감경 제도의 실효성을 높여 소상공인의 생존과 고용 유지를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현장의 어려움에 귀 기울여 제도를 지속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5-07-07
  • 오세훈 시장, 밀라노시장 만나 뷰티패션 중심의 경제분야 협력 제안
    주세페 살라(Giuseppe Sala) 밀라노 시장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탈리아 밀라노 첫 일정으로 밀라노시장과 롬바르디아주지사를 만나 세계 패션 지형을 새롭게 만들고 있는 K-패션 글로벌 확산 전략을 전파하고, 밀라노 패션위크 참여 브랜드의 서울패션위크 유치와 국내 디자이너의 유럽 진출 지원 등 입체적인 교류 협력을 제안했다. 오 시장은 4일 오전 9시'현지시간' 밀라노시청에서 주세페 살라(Giuseppe Sala) 밀라노시장을 만나 ▴패션·디자인 분야 협력 확대 ▴문화예술 교류 ▴관광 활성화 및 도시 브랜드 제고 방안을 폭넓게 논의하고, 양 도시 간 새로운 협력의 장을 지속적으로 넓혀가기로 뜻을 모았다. '유럽 시장 겨냥 적극적 마케팅으로 K-뷰티‧패션 글로벌 확산 속도… 서울만의 브랜드 가치 재정립' 2007년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한 서울시와 밀라노시는 현재 경제·문화와 패션·디자인 분야에서 매우 활발한 협력을 이어오고 있다. 시는 이번 면담을 계기로 밀라노를 포함해 유럽시장을 겨냥한 적극적인 마케팅으로 K-뷰티・패션산업의 글로벌 확산에 속도를 낸다는 계획이다. 특히 서울패션위크 참여 국내 브랜드의 밀라노 진출은 물론 밀라노 패션위크 참여 브랜드들의 서울패션위크 참가로 세계적인 브랜드를 소개하고, 지속가능한 협력관계를 구축하자고 제안했다. 아울러 국내 유망 브랜드의 현지 인지도 제고가 선결 과제인 만큼 정기적인 팝업 개최와 유명 쇼룸과의 협업을 통한 지속 가능하고 전략적인 홍보도 가동한다. 이를 통해 기술과 감성, 전통과 미래가 공존하는 서울만의 창의적 브랜드 가치를 재정립하고,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 목표다. 이외에도 서울이 아시아 대표 패션·뷰티 허브로 도약할 수 있도록 글로벌 인플루언서와 크리에이터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서울콘(SEOULCON)’을 통해 세계 패션·뷰티 트렌드를 전 세계에 알리고 창작자 간 교류 및 협력 프로그램도 확대해 나간다. 이어 오후 2시'현지시간'에는 롬바르디아 주청사에서 아틸리오 폰타나(Attilio Fontana) 주지사를 만났다. 롬바르디아주는 금융, 디자인, 패션, 생명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선도하는 유럽의 핵심 경제거점이자 이탈리아 GDP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날 서울시는 롬바르디아주와 우호 도시 협약을 다시 한번 체결하며 더욱 활발한 교류와 협력관계를 약속했다. 시와 롬바르디아주는 2017년 우호도시 협정을 체결하고 여러 분야에서 인적·정책적 교류를 이어왔다. 2020년 협약 만료 후 코로나19로 인해 재체결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이번 오 시장의 방문으로 협력관계를 이어나가게 됐다. 양 도시는 경제협력에 중점을 뒀던 기존 협약에 ▴문화공연 ▴문화유산 ▴전통문화 ▴영상미디어 ▴창조 및 디자인산업 ▴관광산업 등 문화 분야에 대한 내용을 강화했다. (문화·예술 분야) 양국의 최대 광역지자체이자 K-컬처와 오페라의 중심지로, 문화예술 분야에서 자연스럽고 깊이 있는 협력을 도모한다. (관광 분야) 유네스코 세계유산과 문화자산을 다수 보유한 양 도시는 관광 분야 홍보와 브랜드 강화와 함께 축제, 포럼, 문화행사 등 시민교류 활성화에 협력한다. (창조·디자인 분야) 양 도시가 강점을 지닌 디자인·패션·콘텐츠 산업 관련 인재와 기업 간 교류 확대로 실질적 성과를 이끌고, 창작자와 중소 콘텐츠 기업 간의 협력을 통해 양 도시의 창의적 산업 생태계를 활성화한다. (경제·투자 분야) 각각 다양한 산업 생태계를 보유하고 있는 양도시는, 특히 활발한 중소기업 활동과 혁신 기반으로 양 도시 간 실질적인 협력의 토대를 마련한다.
    • NEWS & ISSUE
    • Social
    2025-07-06
  • 수년간 학생들의 인건비와 연구수당 가로챈 국립대 교수 적발
    국민권익위원회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국민권익위원회는 국가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학생 연구원의 인건비와 연구수당 등 총 2억 원 이상을 불법적으로 갈취하고, 연구물품 구입 비용을 허위로 청구한 국립대학교 교수 겸 학과장(ㄱ교수)을 적발하여 감독기관과 수사기관에 사건을 이첩했다고 밝혔다. 국민권익위에 따르면, 강원도 소재 국립대의 ㄱ 교수는 2022년부터 국가연구과제를 수행하면서, 참여 연구원으로 등록된 학생 20여 명에게 매월 약 100만 원을 되돌려 줄 것을 강요하거나 통장과 비밀번호를 넘겨받아 직접 현금을 인출하는 방식으로 인건비를 불법 갈취한 것으로 드러났다. 학생별 피해 금액은 많게는 2,600만 원, 적게는 500만 원에 이르렀다. 또한, 연구과제 기여도에 따라 연구원에게 지급되는 연구수당도 불법적으로 전액 되돌려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ㄱ교수의 이 같은 행위는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서 부정행위로 규정하고 있으며 향후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제한과 제재부가금 부과 대상이 될 수 있다. 국민권익위의 조사 과정에서는 ㄱ 교수의 연구비 허위 청구 정황도 함께 드러났다. ㄱ교수는 300만 원 이상의 연구물품을 구입할 경우 연구개발비 전용카드를 사용해야 한다는 규정을 회피하기 위해, 실제로는 구입하지 않은 연구물품 비용을 300만 원 미만의 금액으로 쪼개 총 105건, 약 1억 4천만 원을 허위 청구했다. 이후 해당 금액으로 TV 등 사적 용도의 물품을 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민권익위 이명순 부패방지 부위원장은 “학생의 인건비를 갈취한 행위는 정당하게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교육자로서의 책임을 저버린 중대한 부패 사건”이라며, “연구자 윤리를 강화하고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철저한 조사와 엄정한 처벌이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 NEWS & ISSUE
    • Social
    2025-06-25

실시간 Social 기사

  • 틱톡, 최첨단 AI 기술 접목한 ‘#만화에빠지다’ 필터 출시
    틱톡, 최첨단 AI 기술 접목한 ‘#만화에빠지다’ 필터 출시 글로벌 쇼트 비디오 애플리케이션 틱톡(TikTok)이 최첨단 기술이 적용된 리얼 애니메이션 필터 ‘#만화에빠지다’를 출시하며 크리에이티브 영역을 확대해 나간다. 최근 K웹툰의 세계적인 성장세와 함께 캐릭터 등 다양한 애니메이션 산업이 마켓 트렌드를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틱톡은 플랫폼에 애니메이션을 접목한 ‘#만화에빠지다’ 필터로 플랫폼 트렌드 선도에 나설 계획이다.틱톡 ‘#만화에빠지다’ 필터는 완벽한 얼굴인식이 가능한 틱톡의 최첨단 AI(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얼굴을 생동감 넘치는 만화캐릭터로 구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사람마다 비슷한 모습으로 캐릭터화되는 것이 아닌 얼굴형과 이목구비, 헤어스타일 등 개개인의 외모적 특징을 표현해 단 하나뿐인 나만의 캐릭터로 구현 가능하다. 착용 중인 옷, 촬영 배경까지 디테일하게 필터가 입혀져 사용자는 마치 만화 속 주인공이 된 듯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고개를 살짝 끄덕하면 만화주인공으로 변신하는 ‘끄덕만화’, 이국적 배경이미지와 함께 만화 속 주인공이 되어보는 ‘만화주인공’, 윙크 시 나와 어울리는 캐릭터로 랜덤 변신할 수 있는 ‘만화캐릭터’ 등 총 6종의 리얼 필터로 취향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캐릭터화할 수 있다. 한편 틱톡은 필터 출시를 기념해 ‘#만화에빠지다’ 챌린지를 전개 중이다. 배우 이미도, 이동휘, 가수 오마이걸 유아, 이영지, 뷰티 크리에이터 이사배 등 여러 셀럽의 참여뿐 아니라 현재 챌린지 총 영상 조회 수 2000만 이상을 돌파하는 등 폭발적인 호응을 얻고 있다. 틱톡은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크리에이티브를 발휘할 수 있도록 지금까지 최첨단 인공지능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필터를 선보여왔다며 이번 ‘#만화에빠지다’ 필터와 함께 이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캐릭터를 완성해 보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8-14
  • NH농협은행,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포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솔루션’으로 구축
    NH농협은행, 빅데이터 분석 시각화 포털 ‘마이크로스트레티지 솔루션’으로 구축
    • NEWS & ISSUE
    • Social
    2020-08-14
  • [단독외신] Facebook removes 7M posts for false COVID-19 information
    [단독외신] Facebook removes 7M posts for false COVID-19 information Enlarge Image SOPA Images/LightRocket via Gett Facebook said Tuesday it removed 7 million posts in the second quarter for sharing false information about the novel coronavirus, including content that promoted fake preventative measures and exaggerated cures. Facebook released the data as part of its sixth Community Standards Enforcement Report, which it introduced in 2018 along with more stringent decorum rules in response to a backlash over its lax approach to policing content on its platforms. The company said it would invite external experts to independently audit the metrics used in the report, beginning 2021. The world’s biggest social media company removed about 22.5 million posts containing hate speech on its flagship app in the second quarter, up from 9.6 million in the first quarter. It also deleted 8.7 million posts connected to extremist organizations, compared with 6.3 million in the prior period. Facebook said it relied more heavily on automation technology for reviewing content during the months of April, May and June as it had fewer reviewers at its offices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at resulted in the company taking action on fewer pieces of content related to suicide and self-injury, child nudity and sexual exploitation on its platforms, Facebook said in a blog post. The company said it was expanding its hate speech policy to include “content depicting blackface, or stereotypes about Jewish people controlling the world.” Some US politicians and public figures have caused controversies by donning blackface, a practice that dates back to 19th-century minstrel shows that caricatured slaves. It has long been used to demean African Americans.
    • NEWS & ISSUE
    • Social
    2020-08-12
  • [단독]토탈 차이나 인베스트먼트, 알리바바와 협력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
    [단독] 토탈 차이나 인베스트먼트, 알리바바와 협력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가속화 토탈 차이나 인베스트먼트가 알리바바 그룹과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양사는 각자가 가진 자원을 십분 활용해 토탈 중국 사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토탈 차이나 인베스트먼트(Total Investment, 이하 ‘토탈’)가 알리바바 그룹(Alibaba Group, 이하 ‘알리바바’)(뉴욕증권거래소: BABA, 홍콩증권거래소: 9988)과 전략적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양사는 각자가 가진 자원을 십분 활용해 토탈 중국 사업의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양사는 이번 MOU에 의거해 ‘알리바바 비즈니스 오퍼레이션 시스템(Alibaba Business Operating System, ABOS)’을 기반으로 면밀히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토탈은 전자상거래, 온라인 결제, 현지 서비스, 공급망, 빅데이터, 조직 관리 분야에서 쌓은 알리바바의 선구적 디지털 역량과 기술을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알리바바의 디지털 인프라 및 지원을 통해 중국 주유소·윤활제·특수액 사업을 강화, 제품과 서비스의 유연성 및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토탈의 소매 및 아울렛 입지를 굳히고 지속가능한 성장 기회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토탈은 40여년간 중국에서 활동해왔다. 토탈은 이번 협력으로 알리바바의 ABOS를 활용한 첫 국제 에너지 기업으로 등극, 에너지 업계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기준을 제시했다. 이안 르쁘띠(Ian Lepetit) 중국 토탈 사장은 “디지털 기술은 토탈의 사업 전반이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필요한 핵심 동력”이라며 “토탈의 목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이니셔티브를 통해 2025년까지 연간 15억달러 상당의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중국은 세계를 주도하는 디지털 혁신 환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디지털 혁신을 현실화하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라며 “이번 협력이 토탈의 중국 사업을 개선할 뿐 아니라 모범 경영 사례를 창출해 토탈 그룹(Total Group) 해외 사업에 전파, 전 세계 800만명의 고객에게 더 나은 제품과 서비스, 경험을 선사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제트 징(Jet Jing) 알리바바 부사장은 “토탈은 세계 에너지 업계를 선도하며 뛰어난 제품과 서비스 라인업을 보유한 업체로 정평이 나 있다”며 “함께 일하게 되어 영광이며 알리바바의 ABOS는 특히 제품 혁신, 고객 유치, 주문 조달, 조직 개발 부문에서 토탈의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는데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알리바바는 토탈이 데이터 기술 기반의 고객 중심 운영 체계를 구축하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ABOS는 더 많은 고객을 대상으로 한 명 한 명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좀 더 효율적이고 낮은 비용으로 고객 경험을 개선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파트너십은 주유소와 윤활제 사업, 자동차 케어 사업 등 토탈의 주요 사업 전반을 포괄하며, 알리바바 디지털 이코노미(Alibaba Digital Economy)의 10여개 사업부와 협력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토탈은 크로스플랫폼 매장을 구축해 곧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고객은 타오바오(Taobao), 티몰(Tmall), 알리페이(Alipay), 어러머(Eleme), 에이맵(Amap) 등의 인기 앱을 통해 토탈의 제품 및 서비스를 언제 어디서든 오프라인과 똑같이 온라인에서 즐길 수 있을 것이다. 토탈은 오랫동안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추진해 왔다. 디지털 전략을 효율적으로 실행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최고디지털책임자를 신설하고 디지털 사업부에 여러 디지털 전문가를 배치하는 등 조직 구조를 조정했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8-12
비밀번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