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종편집 2025-03-26(수)

NEWS & ISSUE
Home >  NEWS & ISSUE

실시간뉴스
  • 소타텍, 2월 KSUG 패널 토크 패널로 참여…SAP 운영 효율화 전략 공유
    제48회 KSUG 패널 토크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지난 2월 14일, 제48회 KSUG 패널 토크가 ‘SAP 협업 솔루션을 활용한 프로세스 자동화와 획기적인 비용 절감 사례’를 주제로 성황리에 개최됐다. 본 세션에서는 SAP와 협업 솔루션을 활용한 비용 절감 및 프로세스 개선 사례가 공유됐으며, 소타텍(SotaTek)이 글로벌 딜리버리 센터(GDC)를 활용한 SAP 운영 효율화 방안을 발표하여 주목을 받았다. 소타텍은 베트남을 기반으로 한 IT 서비스 기업으로, SAP 운영을 포함한 다양한 IT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이날 발표에서 소타텍코리아는 자사의 GDC(Global Delivery Center)를 활용한 SAP 운영 비용 절감 전략을 소개하며, 효율적인 SAP 시스템 운영을 위한 차별화된 접근법을 강조했다. 소타텍은 이미 국내 주요 기업들과 협업하여 요기요, 두산로보틱스, 메가존, 무신사 등과 같은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SAP E2E(End-to-End) 딜리버리 및 맞춤형 솔루션 제공을 통해 비용 절감과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고 있다. 특히, 6단계 ODC(Offshore Development Center) 준비 과정을 통해 고객사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강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날 행사에서는 소타텍 외에도 오픈텍스트(OpenText)와 비즈플레이(Bizplay)가 발표를 진행했다. 오픈텍스트는 컨텐츠 기반 SAP 협업 솔루션을 활용한 문서 자동화 및 비용 절감 방안을 공유했으며, 비즈플레이는 출장 및 경비 관리 자동화를 통해 기업의 비용 절감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사례를 소개했다. 이어진 패널 토크 및 실시간 Q&A 세션에서는 SAP 운영 효율화 및 비용 절감 전략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졌다. 특히 소타텍은 SAP뿐만 아니라 블록체인, 클라우드, AI, IoT, RPA 등 다양한 IT 서비스 영역에서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향후 SAP 운영 최적화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와 투자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KSUG 패널 토크에서는 SAP 운영 비용 절감과 효율성 극대화를 위한 다양한 접근법이 논의됐다. 특히, 글로벌 딜리버리 센터(GDC) 활용, 문서 자동화, 경비 관리 최적화 등 실질적인 비용 절감 방안이 제시되며, 국내 기업들이 SAP 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로 평가됐다. 국내 SAP 시장은 점점 더 고도화된 기술과 자동화 솔루션을 도입하며 운영 최적화를 위한 다양한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향후에도 기업들은 SAP 기반의 디지털 혁신을 가속화하고, 비용 절감과 생산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최적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탐색할 것으로 예상된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3-26
  • 퍼스트밸류, Sota Holdings 그룹과 MOU 체결.. 베트남 B2B 핀테크 사업 공동 추진
    퍼스트밸류 송봉호 대표, 소타텍 코리아 James Le 대표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퍼스트밸류(대표 송봉호)는 지난 20일 소타 홀딩스(Sota Holdings, 대표 Tyler Luu)와 베트남 전략적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지난 20일 열린 협약식에는 퍼스트밸류 송봉호 대표, 소타 홀딩스 한국지사 소타텍 코리아 대표 James Le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타텍 코리아 사무실에서 진행됐다. 이번 협약으로 양사는 각 사가 보유한 핀테크 및 IT기술을 활용해 베트남 현지 핀테크 비즈니스 사업을 강화한다. 퍼스트밸류는 핀테크 플랫폼 ‘핀버(finber)의 시스템과 소타 홀딩스의 IT 전문 인력 및 네트웍을 협력하기로 했다. 퍼스트밸류는 이를 기반으로 베트남 현지화 비즈니스 및 서비스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며, 소타 홀딩스는 퍼스트밸류가 베트남에서 사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도록 베트남내 파트너 발굴, 업체 제휴 및 영업지원 등의 Ecosystem 확대를 지원을 할 계획이다. 양사는 보유한 IT기술력과 네트웍을 바탕으로 공동 영업과 마케팅 활동을 펼칠 예정이며, 디지털 전환 흐름에 맞춰 양사의 강점을 합친 B2B 핀테크 사업 분야에서 시너지를 발휘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퍼스트밸류가 운용하는 매출 파이낸싱 핀테크 플랫폼 '핀버(finber)'는 지난 2018년 코스닥 상장사인 블루엠텍의 전문의약품 e커머스 ‘블루팜코리아’를 초기 기획개발하고 최고운영책임자를 역임한 송봉호 대표가 금융업에서 상품 기획, 리스크 관리, 여신 심사 등 10년 이상의 경험과 팩토링(factoring) 시스템 개발 및 운영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들과 함께 지난 1월에 창업한 회사다. 창업 2개월만인 지난 3월 10일부터 쿠팡, G마켓, 옥션 셀러들을 대상으로 비공개 베타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비공개 베타 테스트 개시 후 단, 3일만에 약 5억원 이상의 자금이 거래됐다고 밝힌 바 있다. 퍼스트밸류는 비공개 테스트를 통해 시스템 안정성을 검증하고 이용 편의성을 개선하여 4월 공개 서비스, 6월 정식 서비스를 출시할 예정이다. 퍼스트밸류 송봉호 대표는 “팩토링(Factoring) 구조의 장래 매출채권을 활용한 금융 서비스는 국내에는 다소 낯설지만, 이미 미국과 유렵을 중심으로 23년 글로벌 기준 4조 1천억달러에 달하며, 8.5%이상의 연평균 성장율(CAGR)의 매우 활발한 대체 금융 솔루션”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국내 서비스만이 아닌 해외 첫 진출 국가로 베트남에 핀버(finber) 플랫폼의 팩토링 금융 서비스 진출을 빠르면 연내 출시를 계획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또한, “베트남 진출을 첫 시작으로 다양한 국가에 진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소타 홀딩스는 하노이에 본사를 둔 글로벌 IT컨설팅 & 기술개발 전문 회사로, 한국·일본·미국 등 6곳에 해외 지사를 둔 글로벌 서비스 역량을 보유한 회사이다. 국내에는 두산그룹, 신세계그룹 등 대기업과 위대한상상 및 레몬헬스케어 등 IT솔루션을 보유한 국내 플랫폼 기업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3-26
  • 베트남-한국 IT 협력 가속… 프로젝트 성공을 결정짓는 핵심 전략
    James Le - 소타텍 코리아 대표 / 주한 베트남경영협회 부회장은 베트남-한국 IT 협력의 비전과 전략을 밝혔다.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최근 한국과 베트남 간 IT영역에서의 협력 저변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한국은 베트남의 최대 해외 투자국으로 급부상하여 2024년 10월 기준, 총 10,060개 프로젝트에서 874억 3천만 달러의 외국인 직접 투자(FDI)를 기록했다. 베트남 정부는 2025년까지 IT 산업 성장률을 GDP 대비 두 배로 확대하는 목표를 세웠다 이에 따라 80,000여개 이상의 베트남 IT 기업이 GDP의 6~6.5%를 차지하게 될 전망이다. FPT와 소타텍(SotaTek) 등 베트남 IT 기업들도 한국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FPT는 디지털 전환, AI, 자동화 솔루션 분야에서 한국 기업들과 협력하고 있으며, 소타텍은 전자상거래, 교육, 로보틱스 ERP, 맞춤형 소프트웨어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삼고 있다. IT 협력이 확대되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양국간 문화적 차이와 업무 방식 차이를 프로젝트 수행의 주요 장애물로 지적한다. 한국 기업들은 IT서비스 이용자로서 높은 수준의 평가 기준을 가지고 정밀한 요구사항 분석, 유연한 대처능력을 요구하며 이는 비즈니스 문화, 업무 방식이 상이한 해외 개발사의 입장에서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실제로 개발 및 구현 단계에서 프로젝트의 연장 및 지연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적지 않다. 결국 업무의 비효율과 양측의 불만이 가중되는 상황이 초래된다. 전문가들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로젝트 설계 단계부터 한국과 베트남 담당자가 함께 참여하는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고 지적하며, 이와 같은 ‘하이브리드 설계팀’ 구성을 해결 방안으로 제시한다. 이 설계팀은 ▲ 한국인 프로젝트 디자이너 ▲ 베트남인 비즈니스 애널리스트로 구성된다. 한국인 프로젝트 디자이너는 시스템 아키텍처, 비즈니스 로직,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 등 정밀한 프로젝트 설계를 담당한다. 베트남인 비즈니스 애널리스트는 이러한 설계를 해석해 베트남 개발팀이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업계에서는 이 같은 하이브리드 모델이 도입 될 경우 소통의 명확성이 증대되고, 그에 따라 프로젝트에서의 불필요한 수정이나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이는 업무의 전체적인 효율성을 향상 시키며, 고객 만족으로 이어진다. 특히 한국인 프로젝트 디자이너가 직접 프로젝트 설계에 참여함으로써 요구사항을 보다 체계적으로 수집 할 수 있으며, 베트남 비즈니스 애널리스트는 이렇게 수집된 요구사항을 자국 개발자 친화적인 형태로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베트남-한국 IT 협력은 향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하지만 이를 성공적으로 정착시키기 위해서는 문화적·커뮤니케이션 장벽을 해소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James Le 소타텍 코리아 대표 겸 주한 베트남경영협회 부회장은 “하이브리드 프로젝트 설계팀을 통해 양국의 전문성을 결합하면 프로젝트 수행 효율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라며 “이러한 접근 방식은 IT 프로젝트의 성공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비즈니스 협력 관계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3-26
  • 서울시, 신규 인력 6명 이상 채용한 '외투기업'에 최대 2억 원 지원
    서울시청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서울시는 8대 신성장 분야의 외국인 투자기업이 6명 이상 신규 인력을 채용하면 기업당 최대 2억 원을 지원한다고 밝혔다. 시가 지정한 8대 신성장동력산업은 ▴IT융합 ▴디지털콘텐츠 ▴녹색산업 ▴비즈니스 서비스 ▴패션·디자인 ▴금융업 ▴관광컨벤션 ▴바이오 메디컬이다. 다만, 시와 투자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외국인 투자기업은 신성장동력산업 여부에 상관없이 지원받을 수 있다. 지난 2005년 시작한 서울시 ‘외투기업 고용·교육훈련 보조금 지원’ 사업은 서울 소재 외국인 투자기업의 신규고용 및 교육훈련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총 4억 4천만 원을 지원하는 올해 사업에서 보조금 지원을 희망하는 기업은 4월 27일까지 보탬e 사이트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고용·교육훈련 보조금을 신청하기 위해서는 신청일 기준, 외국인 투자 비율이 30% 이상이면서, 최초 또는 증액 투자가 있는 날로부터 5년 이내에 신규 고용 및 교육훈련이 이뤄진 기업이어야 한다. 보조금 지원기준으로는 2024년도 상시 고용인원이 2023년도 대비 5명을 초과해야 한다. 또한, 보조금 수령 기업은 외국인 투자비율 30% 이상 및 2024년 상시 고용인원을 2027년까지 유지해야 한다. 설립 7년 이내 스타트업, 신규 신청기업의 경우 심의에서 우대한다. 선정된 기업에는 고용보조금과 고용훈련 보조금을 합산해 1인당 최대 100만 원씩 최대 6개월간 보조금이 지원된다. 단, 2024년도 신설기업은 2024년도 4분기의 상시 고용인원을 기준으로 지원한다. 천세은 서울시 금융투자과장은 “외국인 투자기업의 안정적인 초기 정착을 지원하고 일자리를 창출하기 위해 신규고용 및 교육훈련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다”라며, “서울시의 신성장동력 분야 산업역량 강화에 동참하는 외국인 투자기업들의 많은 신청을 바란다”라고 말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3-26
  • 산업부, 반도체・배터리 등 24개 기업 사업재편 승인
    산업통상자원부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산업통상자원부는 제46차 사업재편계획 심의위원회(서면)를 개최하여 ㈜에이프로, ㈜포인트엔지니어링, 엘지디스플레이㈜ 등 24개 기업의 사업재편계획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승인된 기업들은 향후 5년간 총 8,681억원을 투자하고 1,390명을 신규 고용해 새로운 사업분야로 진출을 추진할 계획이다. 사업재편계획 승인기업의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에이프로는 이차전지 장비 제조에 축적된 기술력으로 전기차 충전 중 배터리 안전성을 평가하는 충전기를 개발하고, ㈜케이앤이는 배터리 내 온도·압력 상승 시 자동개방되어 화재를 방지하는 장치를 개발할 계획이다. 한편, ㈜포인트엔지니어링은 반도체장비 부품제조의 전문성을 살려 반도체 검사용 고정밀 마이크로핀 제조에 나서고, 엘지디스플레이(주)는 생산시스템에 AI기술을 확대 적용해 기업경쟁력을 제고한다. 김주훈 민간위원장은“최근에 반도체·배터리·SW 등 신산업 분야로 기업들의 사업재편계획 신청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AI로 촉발된 첨단산업 경쟁에 앞서가기 위해 우리 기업들도 사업재편의 속도를 높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기업들이 선제적으로 사업재편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추가 발굴 하는 등 관련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3-26
  • 서울시, 4월 한 달간 중장년 채용설명회 13회 개최…대기업·유망기업 대거 참여
    2023~2024년 중장년 채용설명회 [GEN - 주한외국기업뉴스] 서울시가 중장년층의 안정적인 일자리 지원을 위해 4월 한 달 동안 총 13회의 ‘중장년 채용설명회’를 개최한다. 대기업과 우수 중소기업이 대거 참여하며, 채용 직무도 다양해져 중장년 구직자들에게 실질적인 취업 기회가 될 전망이다. 서울시50플러스재단은 지난 1월부터 중장년층의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권역별 5개 50플러스 캠퍼스(서부, 중부, 남부, 북부, 동부)에서 ‘중장년 채용설명회’를 상시 운영하고 있다. 재단은 시민의 인생 후반 50년을 돕는 서울시 출연기관으로 경력 설계, 직업훈련, 취업과 창업 등을 포함한 일자리 지원을 담당하고 있다. 서부, 중부, 남부, 북부, 동부의 5개 캠퍼스와 동작, 영등포, 노원 등 13개 센터와 협력하여 다양한 중장년 지원사업을 운영한다. 중장년 채용설명회는 중장년 채용을 희망하는 기업과 구직자가 현장에서 직접 만나 직무 설명부터 면접까지 한 번에 진행하는 취업 연계 사업이다. 채용설명회에 참여하는 기업은 10인 이상 채용을 원하면서 안정적인 근무 환경을 갖춘 곳으로 선정된다. 설명회를 통해 중장년 유망 직종을 소개하고, 이후 1:1 무료 취업 컨설팅 등과 연계해 실질적으로 중장년 취업률을 제고한다. 채용설명회에 참여를 원하는 기업은 연중 언제든 신청이 가능하며, 전액 무료로 행사를 협력 운영할 수 있다. 이번 4월 채용설명회에는 대기업 참여가 두드러진다. KB골든라이프케어(요양 산업 분야)부터 LG하이케어솔루션(가전제품 렌탈 및 유지‧관리), 롯데GRS(글로벌 외식 기업) 등의 대기업이 중장년 채용에 직접 나선다. 이외에도 세스코, KFC, 가비아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주요 기업들도 참여한다. 채용 직무도 대폭 확장됐다. 전기자전거 정비, IT 관제, 아웃바운드 기술영업, 리서치 조사원, 타다 드라이버 등 운송, 물류, 조리, 돌봄 분야에 방역, 통계조사까지 추가됐다. 중장년층이 보유한 경험과 전문성을 살릴 수 있는 기회가 더욱 넓어진 셈이다. 올해 채용설명회는 운영 방식도 다양화됐다. 단순 설명회 형식을 넘어 직무체험을 병행하는 설명회부터 온라인 연계 상담까지, 참여자의 편의와 기업의 요구를 반영한 맞춤형 방식이 도입됐다. 현장 면접이 가능한 기업도 다수 포함돼 즉시 채용의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번 설명회는 취업을 희망하는 중장년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구직 희망자는 50플러스포털에서 자격요건을 확인하고 희망 기업별로 신청할 수 있다. 중복 지원도 가능하다. 이성수 서울시50플러스재단 사업운영본부장은 “중장년 채용설명회는 구직자에게는 신뢰할 수 있는 일자리 기회를, 기업에는 검증된 경력 인재를 연결하는 실질적인 가교 역할을 하는 사업”이라며, “특히 올해는 참여 기업과 직무가 확대된 만큼 더욱 의미 있는 성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 NEWS & ISSUE
    • Economy
    • NEWS
    2025-03-26

실시간 NEWS & ISSUE 기사

  • 글로벌 MSP 클라우드포씨, 한국 진출… 1일 ‘코리아 론칭데이’ 개최
    글로벌 MSP 클라우드포씨, 한국 진출… 1일 ‘코리아 론칭데이’ 개최 ‘코리아 론칭데이’에서 서피터 클라우드포씨 한국 지사장 겸 글로벌 부사장이 한국 시장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클라우드포씨 “한국 기업의 클라우드 전환 돕겠다” 대보정보통신, 하이블럭스(Hiblocks)와 ‘클라우드 MSP 파트너십’ MOU 체결 글로벌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 기업(MSP · Managed Service Provider) 클라우드포씨(CLOUD4C)가 1일 강남구 신사동 한국지사에서 ‘코리아 론칭데이’를 개최하며 한국 시장 진출을 공식 선언했다.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클라우드포씨는 기업 비즈니스 목적에 맞게 맞춤형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이다. 전사적 자원관리(ERP) 프로그램의 대명사격인 SAP ERP의 프리미엄 클라우드 파트너십을 보유하고 있으며 아마존웹서비스(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S Azure),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GCP), IBM 클라우드 등뿐만 아니라 자체 클라우드를 통해 기업의 클라우드 컨설팅부터 마이그레이션, 구축 및 관리 등 엔드 투 엔드(end to end)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 (Fortune)’이 선정한 500대 글로벌 다국적 기업 중 60개사를 고객으로 두고 있으며 세계 25개국에 50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다. 삼성전자, 현대차그룹, MCM(성주그룹) 등 한국 기업을 대상으로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멀티 클라우드 관리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클라우드포씨 임직원 숫자는 1만5000명 이상으로 2019년 기준 글로벌 총매출액은 3조1510억원에 달한다. 이날 행사는 해외 지사장 및 글로벌 파트너의 축하 메시지로 꾸며졌으며 서피터 한국 지사장 겸 글로벌 부사장도 직접 클라우드포씨의 한국 시장 전략을 발표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외에 대보정보통신, 소셜미디어 큐레이션 플랫폼 하이블럭스(hiblocks), 티지소프트와 각각 ‘클라우드 MSP파트너십’ MOU를 체결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행사장에는 국내 기업 고객 및 파트너 등 100여명이 참석해 클라우드 업계의 전망과 동향을 공유하고 네트워크를 다질 기회를 가졌다. 특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참석하지 못한 전 세계 관계자를 위해 실시간 스트리밍도 동시에 진행됐다. 클라우드포씨 창업자이자 회장인 스리다 피나푸레디(Sridhar Pinnapureddy)는 “한국이 동북아 클라우드 시장의 허브가 될 수 있도록 한국에 데이터 센터를 짓고 중국, 일본 등에 진출하는 교두보 역할을 하겠다”며 “특히 한국 정부, 대학과 협업해 ‘CLOUD4C 아카데미 인턴쉽 프로그램’을 만들어 한국의 청년 취업난 및 기업의 전문 IT엔지니어 인력난 해결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지사 운영을 총괄하는 서피터 한국 지사장은 “한국 기업이 사업 구조를 디지털로 전환하는 데 있어 클라우드 도입은 이제 필수”라며 “클라우드포씨가 보유한 글로벌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 한국 기업과 공공기관이 4차산업혁명 시대 승자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7-02
  • ABB completes divestment of Power Grids to Hitachi
    ABB completes divestment of Power Grids to Hitachi ABB today reached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e company’s transformation towards a decentralized global technology company, with the completion of the divestment of 80.1 percent of its Power Grids business to Hitachi, as planned. The divestment allows ABB to focus on key market trends and customer needs such as the electrification of transport and industry, automated manufacturing, digital solutions and increased sustainable productivity. “Today’s announcement marks an important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ABB. Since announcing our intention to divest Power Grids to Hitachi, ABB has made significant progress in becoming a more customer-focused and simplified organization. We believe Hitachi is the best owner for Power Grids and its next stage of development, building on the solid foundation achieved under ABB’s previous ownership,” said Peter Voser, Chairman of the Board of Directors of ABB. “ABB remains committed to using net cash proceeds from the transaction for a share buyback program. Our goal is to execute this in an efficient and responsible way, taking account of the prevailing circumstances.” Consistent with ABB’s capital structure optimization program, ABB plans to return to shareholders net cash proceeds of $7.6-7.8 billion from the sale of Power Grids. ABB initially intends to launch a share buyback program of 10 percent[1] of the company’s issued share capital shortly after the release of its second quarter 2020 financial results. This represents about 180 million shares, when excluding treasury shares. The share buyback program will be executed on a second trading line on the SIX Swiss Exchange and is planned to run until the company’s Annual General Meeting (AGM) on March 25, 2021. At the AGM, ABB intends to request shareholder approval to cancel the shares purchased through this program and to announce further details on its ongoing capital structure optimization program. ABB aims to maintain its “single A” credit rating. “With the divestment, ABB is well positioned for the future with a strong focus on industrial customers. Leveraging our technology leadership and passion for innovation, we will now focus on creating superior value for our customers, employees and shareholders. We will do this by evolving our decentralized business model, strengthening our performance management culture and driving active portfolio management,” said Björn Rosengren, ABB CEO. ABB is a long-term partner of Hitachi and will initially retain a 19.9 percent equity stake in the joint venture that will operate as Hitachi ABB Power Grids and be headquartered in Switzerland. The joint venture is a global leader in power systems, with annualized revenues of approximately $10 billion and roughly 36,000 employees, serving customers in over 90 countries. The Board of Directors of the joint venture includes Timo Ihamuotila, Chief Financial Officer of ABB, and Frank Duggan, former member of ABB’s Executive Committee. Hitachi ABB Power Grids will be led by Claudio Facchin as CEO. The transaction terms with Hitachi remain as announced on December 17, 2018, with an enterprise value of $11 billion for 100 percent of the business. ABB has a pre-defined option to exit the retained 19.9 percent shareholding three years after closing.
    • NEWS & ISSUE
    • Economy
    2020-07-02
  • 다임러 트럭 코리아, 트럭 전문 콜 센터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 오픈
    다임러 트럭 코리아, 트럭 전문 콜 센터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 오픈 다임러 트럭 코리아(대표이사 조규상)가 트럭 전문 콜 센터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를 새롭게 오픈했다. 다임러 트럭 코리아 조규상 대표이사는 “메르세데스-벤츠 트럭의 서비스는 단순 고장 수리 그 이상의 것을 추구한다”며 “성공을 향한 고객의 여정에 늘 동행하며 차별화된 트럭 서비스 경험을 선사하는 것이 메르세데스-벤츠 트럭이 추구하는 서비스 영역”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 새롭게 문을 연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를 시작으로 고객들이 강화된 차량 정비 서비스를 체감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임러 트럭 코리아는 ‘Trucks you can trust(당신이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트럭)’ 브랜드를 목표로 하는 중장기 계획의 일환으로 고객이 운송 사업을 시작하는 트럭 출고 시점부터 차량을 운행하는 전 기간에 걸쳐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고객 서비스 강화 시스템을 구축해 나가고 있다. 2019년 4월 고객들의 성공을 위한 여정의 시작점에서 프리미엄 브랜드 경험을 선사하기 위해 수입 상용차 업계 최대 규모의 신개념 상용차 전용 출고 센터인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스타 센터’를 오픈한 바 있다. 이어 이번에 트럭 전문 콜 센터를 오픈함으로 메르세데스-벤츠 트럭이 추구하는 ‘고객의 여정에 늘 동행하는’ 서비스 영역에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스타 센터와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로 이어지는 토탈 지원 체계를 갖추게 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는 일반적인 콜 센터의 개념을 넘어 트럭 상담 및 트럭커 케어까지, 차량 인도 시점부터 시작되는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고객들의 성공을 향한 여정에 늘 동행하며 트럭을 가장 잘 아는 메이트로 신속하고 전문적이며 능동적인 고객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다임러 트럭 코리아는 메르세데스-벤츠 승용 및 상용 통합 콜 센터에서 상용차 부문을 분리하였다.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는 고객의 불편에 보다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사전 차량 서비스 역할을 수행하며 고객 불편 발생 시 가능한 조기에 문제를 해결하고 신속하게 정비를 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여 고객의 수익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신속한 운행 복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중 24시간 긴급 출동을 서비스를 비롯해 트럭 전문 상담사가 고객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맞춤 상담을 제공하며 보다 전문적인 상담이 필요한 경우 다임러 트럭 코리아 전담 기술진이 신속하게 상담을 지원한다. 또한 신모델 전문 상담 데스크를 갖추고 첨단 제품의 특성상 구입 초기에 집중 발생하는 다양한 질문에 신속하게 대응하고자 한다. 아울러 고객의 응대에만 그치지 않고 구입 초기 5000km 점검 예약 해피콜, 담당 서비스 센터 안내 등 선제적인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능동적인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한편 불편 사항이 아니더라도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고객을 위한 멤버십 카드인 메르세데스서비스 카드 전문 상담 데스크를 통해 카드 정보 조회, 카드 재발급 및 포인트 관련 문의를 할 수 있으며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구입 문의도 가능하다. 메르세데스-벤츠 트럭 365 고객 센터 전화는 긴급 출동 1번, 신모델 전문 상담 2번, 메르세데스서비스 카드 3번, 기타 문의 4번으로 구성되어 있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7-01
  • 베리타스, 랜섬웨어 대비 8대 수칙 및 데이터 백업 전략 발표
    베리타스, 랜섬웨어 대비 8대 수칙 및 데이터 백업 전략 발표 전 세계 엔터프라이즈 데이터 보호 및 가용성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 베리타스코리아(대표 조원영)가 최근 기업을 겨냥한 랜섬웨어 공격이 급증함에 따라 ‘랜섬웨어 대비를 위한 8대 수칙 및 4가지 데이터 백업 전략’을 발표했다. 2020년 4월 베리타스가 실시한 ‘랜섬웨어 인식 조사’에 따르면 대다수의 일반 사용자는 기업이 랜섬웨어 공격에 맞서 대응하고 몸값을 지불하지 않아야 한다고 답했으며 기업이 반드시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두 가지 필수 도입 항목으로 보안 소프트웨어(79%)와 데이터의 백업 사본(62%)을 꼽았다. 해당 기술을 도입한 기업은 일반적으로 랜섬웨어 공격을 예방하거나 몸값을 지불할 필요 없이 데이터를 안전하게 복원할 수 있어 랜섬웨어 공격에 보다 수월하게 대응할 수 있다. 특히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발표에 따르면 최근 원격 관리 프로그램의 부주의한 사용으로 랜섬웨어 감염 사례가 기업 및 호스팅 업체를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은 데이터 백업용 서버가 기업 업무망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랜섬웨어 감염 시 백업 서버가 손상돼 복구가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오프라인 백업과 내부 보안 강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랜섬웨어 대비를 위한 8대 수칙 기업은 지속해서 진화하는 랜섬웨어 위협을 최소화하고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직원 대상 랜섬웨어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인터넷, 메일 서비스 관련 보안을 강화하는 동시에 정기적인 백업을 실행해야 한다. 베리타스는 아래와 같이 기업을 위한 랜섬웨어 피해 예방 8대 수칙을 제시한다. ·시스템을 백업한다. -이미징 백업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정기적인 백업을 실행한다. -백업 소프트웨어가 없는 경우 운영체제(OS) 자체 기능인 ‘서버 보호 설정’ 기능을 통해 백업을 실행한다. ·운영체제(OS) 외의 컴퓨터 및 서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백업한다. -전문 인력 또는 담당자를 통해 주기적인 백업을 실행한다. ·데이터에 대한 가시성 및 통찰력을 확보한다. -다크 데이터에 대한 제어력을 확보해 악성 소프트웨어일 수 있는 파일을 삭제한다. -랜섬웨어가 파일을 암호화할 경우 실시간으로 알림을 받을 수 있도록 데이터 세트를 모니터링해 변경 사항을 확인한다. ·공유 폴더에 대한 접근 및 액세스를 관리한다. -편집, 쓰기, 읽기, 보기 등 공유 폴더의 권한을 설정해 접근 및 액세스를 제한한다. ·사용자 보안 인식 교육을 실시한다. -직원을 대상으로 랜섬웨어 감염 방식, 피해 사례, 예방 대책 등 관련 교육을 실시한다. ·컴퓨터 및 기기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한다. -모든 컴퓨터 및 기기에 설치된 자바(Java), 어도비 리더(Adobe Reader),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Adobe Flash Player), 윈도우 업데이트(Windows Update), 백신 프로그램 등 소프트웨어를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안정성이 확인되지 않은 웹페이지는 접속을 제한한다. -업무에 요구되거나 안전성이 확인된 사이트 이외의 사이트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 또는 제한한다. ·메일 보안을 강화한다. -의심스러운 메일은 즉시 삭제하고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은 첨부 파일은 실행하지 않는다. -악성코드가 포함된 이메일은 필터링 되도록 시스템을 설정한다. ◇랜섬웨어 대비를 위한 4가지 데이터 백업 전략 랜섬웨어는 컴퓨터의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거나 파일을 암호화해 기능 복원 또는 파일 복호화를 위한 비용을 요구한다. 랜섬웨어에 감염되면 복호화 가능 여부를 장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복호화가 가능하더라도 시스템에 잔존하는 원본 악성 코드 또는 유입 경로를 통해 재감염될 확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사전 예방적인 데이터 보호 및 백업 전략을 수립해 데이터 레질리언스(Resilience) 역량을 갖추는 것이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될 수 있다. 베리타스가 제안하는 랜섬웨어 대비를 위한 4가지 데이터 백업 전략은 아래와 같다. ·에어 갭(Air Gap) 백업: 오프라인 데이터 백업 카피본을 생성해 공격을 차단하는 것으로 데이터를 오프라인이나 이동식 매체에 보관하는 경우 랜섬웨어가 해당 데이터에 액세스하고 암호화할 수 없다. ·다중 백업 이미지 카피본 분산: 백업 이미지 카피본을 여러 위치에 분산 보관해 데이터 카피본을 캡처하려는 시도를 차단할 수 있다. 랜섬웨어가 각각의 백업 이미지 카피본을 검색하기 어렵고 검색에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백업 인증 정보 제한: 로그인 정보 및 사용자 계정을 제한해 랜섬웨어 진입점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백업 환경이 랜섬웨어에 감염되지 않도록 한다. ·RPO(복구 시점목표) 단축: 백업을 자주 실행하면 RPO가 줄어들면서 랜섬웨어 공격으로 인한 데이터 유실 범위를 줄일 수 있다. ◇랜섬웨어 대비를 위한 베리타스 데이터 백업 솔루션 및 컨설팅 프로그램 베리타스는 △랜섬웨어 대응 백업 컨설팅 프로그램을 비롯해 대표 백업 솔루션인 △넷 백업 어플라이언스(Net Backup Appliance)와 △백업 이그젝(Backup Exec)을 통해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에 상관없이 모든 데이터를 관리 및 보호하고 랜섬웨어로부터 복구할 수 있도록 돕는다. 베리타스는 랜섬웨어 데이터 보호 방법론, 업계 표준 및 모범 사례를 기반으로 랜섬웨어 대응 컨설팅을 제공한다. 컨설팅을 통해 데이터 보호 관련 잠재적인 위험 요소와 대응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랜섬웨어 공격에 대한 데이터 보호 자문 서비스 및 로드맵을 통해 최적화된 데이터 보호 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안정적인 백업 기능에 강력한 보안까지 지원하는 베리타스 넷 백업 어플라이언스는 넷 백업 소프트웨어와 다 계층 보안을 결합해 랜섬웨어 및 악성 사이버 활동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잠재적인 공격으로부터 백업 및 복구 인프라를 보호하고 공격 발생 시 프로덕션 환경을 신속하게 복구해 기업이 인프라 관리가 아닌 비즈니스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여러 클라우드 벤더와 연계해 최상의 데이터 보호 및 복구 툴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설계 및 최적화됐다. 베리타스 백업 이그젝은 가상, 물리적 및 멀티 클라우드 환경을 지원하는 백업 및 복구 솔루션으로 데이터 위치에 관계없이 기업의 데이터를 간단하고 통합적인 방법으로 백업 및 복구할 수 있다. 특히 랜섬웨어 레질리언스 기능이 탑재되어 랜섬웨어 공격으로부터 비즈니스 크리티컬 데이터를 보호하고 향상된 보안 및 백업 성능을 제공한다. 조원영 베리타스코리아 대표는 “오늘날 랜섬웨어 공격이 다양해지고 공격 기법도 정교하게 진화함에 따라 공격 대상과 피해 규모가 현저히 늘어나고 있다”며 “랜섬웨어 공격은 다운타임, 생산 손실, 제품 공급의 차질, 나아가 브랜드 평판에 이르기까지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조원영 대표는 “특히 2020년 전 세계 랜섬웨어 피해 규모는 브랜드 평판에 대한 피해 비용을 제외하고도 14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베리타스는 기업들이 올바른 데이터 보호 및 백업 전략 수립을 통해 안정적인 데이터 보호 환경을 구축해 비즈니스 운영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NEWS & ISSUE
    • Social
    2020-06-30
비밀번호 :